우당탕탕 짧은 일본 일정이 끝났다.
여행이라면 여행이고 출장이라면 출장일 수 있는 그 모호한 일정이 끝이 났다.
그 결과와 후기들은 곧 차차 얘기하도록 하겠다.
자 다시 돌고 돌아 기업가 정신에 대해 얘기해보겠다.
이걸 계속하는 이유는 올 해 지컴퍼니 공연의 주 판매 공연은 기업가 정신 뮤지컬 더페인팅 이고 (물론 신작은 있지만, 심지어 오늘 저작권을 오늘 계약했다.)
그걸 홍보의 목적과 동시에 필자도 계속하여 공부하고 있는 주제이다.
오늘은 청소년 들에게 기업가 정신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이 뮤지컬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한다.
필자도 계속 학습하는 입장에서 일 전에 썼던 글 이상의 분량을 작성하려고 하다 보니 , 시작 하기가 어려웠다.
애초에 필자가 전문가 입장에서 일을 하며 경험 했던 내용을 글로 작성했던 지난 글에 비교 하면 진도가 안나갔다.
필자가 익히고 숙지하는 기업가 정신을 독자들과 나누고 같이 스터디하는 개념으로 짧은 글이라도 작성해야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기업가정신은 단순히 사업을 시작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단순히 창업의 목적만을 가지고 기업가 정신을 다가 가고 학습한다면, 한정된 학생들에게만 효과적인 수업이 될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필자는 관심도 가지지 않았을 것이다.
기업가 정신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필자는 이 전체적인 기업가 정신의 키워드를 통해, 청소년들이 가져야할 필수 교양 항목이라 생각하였고, 그 점을 공연에 담고자 하였다.
필자가 이전에도 기재했던 바와 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기업가정신을 갖춘 사람들은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점 또한 중요한 키워드다. 유연하게 대응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일전에 TV 프로그램에 배우 김지석이 본인의 친형과 대화를 나눈 장면을 본 적이 있다.
형제 간에 나누는 대화 치고 상당히 세밀하고 영양가 ? 있는 수준 높은 대화라 눈 여겨 본 기억이 났다.
김지석의 형은 아이들을 'Winner' 가 아닌 'Survivor'로 키운다라고 얘기하였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격변하는 세상 속에서 세상을 이끄는 주역이 AI 던 사람이던
그 환경에 살아남는 유연한 Survivor 가 되었으면 한다는 얘기였다.
필자의 생각과 너무 공감되는 이야기 들이라 너무 인상깊게 봤던 기억이 있다.
이런 부분 또한 필자가 청소년들에게 기업가 정신의 교육 뮤지컬을 제작하여 이 점을 학습하려하는 이유가 될 수 있겠다.


청소년에게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이유는 명확하다.
청소년들은 미래의 주역이기 때문에, 그들이 기업가정신을 배우면 진로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창업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도 있고, 취업 후에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기업가정신 교육은 단순한 창업 준비가 아니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과정인 것이다.
내가 제작하는 뮤지컬 '더페인팅'은 바로 이러한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주인공 영서의 서사를 통해 청소년들이 기업가정신을 배우고, 그를 통해 자신의 꿈을 찾아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다양한 캐릭터들의 이야기를 통해 관객들에게 영감을 주고,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알리며 청소년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믿게 만들고자 한다.\
자 뭐가 됐던 기업가 정신의 이야기는 앞으로도 짧게라도 꾸준히 이어 나가겠다.
'기업가정신 이야기(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정신 배우면 창업해야되는 거 아니냐고? 꼭 그런거 아니라고!!! (2) | 2025.04.16 |
---|---|
기업가 정신의 핵심키워드 혁신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 ! 공연 보고 이걸 어떻게 알아 간다는 건데 So what?? (1) | 2025.04.10 |
기업가정신.. 그 중 제일은 여성 기업가정신 이니라.. (7) | 2025.04.08 |
기업가 정신 '앙트러프러너쉽'은 일본에서도 통할까? (2) | 2025.03.31 |
기업가 정신, 혹은 앙트러프러너쉽이라는 이 이색 단어에 관한 이야기 (1) | 2025.03.26 |